한용운은 시집 『님의 침묵』 이후 십 년이 지난 뒤에 ‘심우장 尋牛莊 산시 散詩 ’라는 표제로 일련의 시편들을 발표하면서 자신의 시적 변모를 새롭게 보여주었다.
「심우장 산시」는 1936년 3월 27일부터 4월 5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작 형식으로 연재되었다. 총 6회에 걸쳐 「산거 山居 」, 「산골물」,「모순 矛盾 」, 「천일 淺日 」, 「쥐 (鼠) 」, 「일출 日出 」, 「해촌 海村 의 석양」, 「강 배」, 「낙화」, 「일경초 一莖草 」, 「파리」, 「모기」, 「반월 半月 과 소녀」 13편의 시를 수록했다. 이 작품들은 한용운이 서울 성북동 의 심우장 尋牛莊 에 기거하면서 느낀 경험적 일상의 단편들을 시적 형식으로 형상화하고 있는데, 시집 『님의 침묵』에서 볼 수 있었던 시적 주체의 자기 고백적인 진술법과 ‘님’이라는 시적 대상을 향한 간절한 원망 願望 의 어조에서 벗어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시인의 현실 인식과 그 치열한 역사의식은 여전히 그 내면 풍경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심우장 산시」는 비슷한 시기에 「심우장 尋牛莊 만필 漫筆 」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산문과 함께 1930년대 중반 만해의 문필 생활과 그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에 해당한다.
지난 호에 이어 이번 호에는 「심우장 산시 3」과 「심우장 산시 4」의 작품들을 『유심』의 독자들과 함께 다시 읽기로 한다. 작품 원문의 대조 및 주석 작업은 권영민 교수가 맡았음을 밝힌다.
「심우장 산시 3」
쥐
나는 아무리 좋은 뜻으로 너를 말하여도
너는 작고 방정맞고 얄미운 쥐라고밖에 할 수가 없다.
너는 사람의 결혼 의상과 연회복을 낱낱이 쪼아놓았다.
너는 쌀궤와 팥 멱서리를 다 쪼고 물어내었다.
그 외에 모든 기구를 다 쪼아놓았다.
나는 쥐덫을 만들고 고양이를 길러서 너를 잡겠다.
이 작고 방정맞고 얄미운 쥐야.
x x x
그렇다, 나는 작고 방정맞고 얄미운 쥐다.
나는 너희가 만든 쥐덫과 너희가 기른 고양이에게 잡힐 줄을 안다.
만일 내가 너희 의장과 창고를 통거리째 빼앗고,
또 너희 집과 너희 나라를 빼앗으면,
너희는 허리를 굽혀서 절하고 나의 공덕을 찬미할 것이다.
그리고 너희들의 역사에 나의 이 뜻을 크게 쓸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큰 죄를 지을 만한 힘이 없다.
다만 너희들이 먹고 입고 쓰고 남는 것을 조금씩 얻어먹는다.
그래서 너희는 나를 작고 방정맞고 얄미운 쥐라고 하며,
쥐덫을 만들고 고양이를 길러서 나를 잡으려 한다.
× × ×
나는 그것이 너희들의 철학이요 도덕인 줄을 안다.
그러나 쥐덫이 나의 덜미에 벼락을 치고 고양이의 발톱이 나 의 옆구리에 샘을 팔 때까지
나는 먹고 마시고 뛰고 놀겠다.
이 크고 점잖고 귀염성 있는 사람들아.
• 원문
쥐(鼠)
나는 아모리 조흔뜻으로 너를 말하야도
너는 적고 방정맛고 얄미운 쥐라고 박게 할수가업다
너는 사람의 結婚衣裳과 宴會服을 낫낫치 조서*노앗다
너는 쌀궤와 팟멱사리**를 다 좃고 무러내엇다
그외에 모든器具를 다 조서노앗다
나는 쥐돗***을 만들고 고양이를 길너서 너를 잡것다
이 적고 방정맛고 얄미운 쥐야
× × ×
그러타 나는 적고 방정맛고 얄미운쥐다
나는 너의가 만든 쥐돗과 너의가 기른 고양이에게 잡힐줄을 안다
만일 내가 너희 衣欌과 倉庫를 통거리****채 빼앗고
또 너의집과 너의나라를 빼앗으면
너의는 허리를 굽혀서 절하고 나의 功德을 讚美할것이다
그러고 너의들의 歷史에 나의이뜻을 크게 쓸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큰죄를 지을만한 힘이 업다.
다만 너의들이 먹고 입고 쓰고 남는 것을 조금씩 엇어먹는다.
그래서 너의는 나를 적고 방정맛고 얄미운 쥐라고 하며
쥐돗을 만들고 고양이를 길러서 나를 잡으랴한다.
× × ×
나는 그것이 너의들의 哲學이오 道德인줄을 안다
그러나 쥐돗이 나의 덜미에 벼락을 치고 고양이의 발톱이 나의 엽구
리에 새암을 팔때까지
나는 먹고 마시고 뛰고 놀갯다.
이 크고 점잔하고 귀염성잇는 사람들아
─ 《조선일보》 1936년 3월 31일
* 좃다. ‘조다’의 방언. 날카로운 것으로 새기거나 갉아내다.
** 팥 멱서리. ‘멱서리’는 곡식을 담아놓는 그릇으로 짚으로 엮어 만듦.
*** 쥐덫.
**** 통가리. 뜸을 엮어 마당에 둘러치고 그 안에 곡식을 채워 쌓은 더미.
「심우장 산시 4」
일출
어머니의 품과 같이
대지를 덮어서 단잠 재우든 어둠의 장막이
동으로부터 서으로
서으로부터 다시 알지 못하는 곳으로 점점 자취를 감춘다.
× × ×
하늘에 비낀 연분홍의 구름은
그를 환영하는 선녀의 치마는 아니다.
가늘게 춤추는 바다 물결은
고요한 가운데 음악을 조절하면서
붉은 구름에 반영되었다.
× × ×
물인지 하늘인지
자연의 예술인지 인생의 꿈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그 가운데로
솟아오르는 해님의 얼굴은
거룩도 하고 감사도 하다.
그는 숭엄, 신비, 자애의 화현이다.
× × ×
눈도 깜작이지 않고 바라보는 나는
어느 찰나에 해님의 품으로 들어가 버렸다.
어디서인지 우는 꾸궁이 소리가
건너산에 반향된다.
• 원문
日出
어머니의 품과 가티
大地를 덥허서 단잠 재우든 어둠의 帳幕이
東으로부터 西으로
西으로부터 다시 알지못하는곳으로 점점 자최를 감춘다
× × ×
하늘에 비낀 연분홍의 구름은
그를 歡迎하는 仙女의 치마는 아니다
가늘게 춤추는 바다물껼은
고요한 가온대 音樂을 調節하면서
붉은 구름에 返映되얏다.
× × ×
물인지 하늘인지
自然의 藝術인지 人生의 꿈인지
도모지 알수업는 그가온대로
소서오르는 해님의 얼골은
거룩도 하고 感謝도하다
그는 崇嚴 神秘 慈愛의 化現*이다
× × ×
눈도 깜작이지 안코 바라보는 나는
어느刹那에 해님의품으로 드러가 버렷다
어대서인지 우는 꾸궁이** 소리가
건넌산에 反響된다
해촌 海村 의 석양
석양은 갈대지붕을 비춰서 작은 언덕 잔디밭에 반사되었다. 산기슭 길로 물 길러 가는 처녀는
─ 《조선일보》 1936년 4월 2일
* 화현化現. 현화. 신불 등이 형체를 바꾸어 세상에 나타남.
** 뻐꾸기.
해촌 海村 의 석양
석양은 갈대지붕을 비춰서
작은 언덕 잔디밭에 반사되었다.
산기슭 길로 물 길러 가는 처녀는
한 손으로 부신 눈을 가리고 동동걸음을 친다.
반쯤 찡그린 그의 이마엔 저녁 늦은 근심이 가늘게 눈썹을 눌렀다.
× × ×
낚싯대를 메고 돌아오는 어부는
갯가에서 선 노파를 만나서
멀리 오는 돛대를 가리키면서
무슨 말인지 그칠 줄을 모른다.
× × ×
서천에 지는 해는
바다의 고별음악을 들으면서
짐짓 머뭇머뭇한다.
● 원문
海村의 夕陽
夕陽은 갈때집웅*을 비처서
적은언덕 잔듸밧에 反射되얏다.
山기슬기 길로 물길너가는 處女는
한손으로 부신눈을 가리고 동동거름**을 친다
반찜 찡그린 그의이마엔 저녁늣인*** 근심이 가늘게 눈섭을 눌넛다
× × ×
낙시대를 메고 도라오는 漁父는
개까****에서 선 老婆를 맛나서
멀리오는 돗대를 가리치면서
무슨말인지 그칠줄을 모른다
× × ×
西天에 지는해는
바다의 告別音樂을 드르면서
짐짓 머뭇머뭇 한다
─ 《조선일보》 1936년 4월 2일
* 갈대로 엮는 지붕.
** 동동걸음. 다급하거나 추워서 발을 동동거리며 걷는 걸음.
*** 저녁 준비가 늦은.
**** 갯가.
권영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미국 버클리대학교 겸임교수.
주요 저서로는 『한국현대문학사』(1, 2), 『한국계급문학운동연구』, 『이상 연구』 등이 있으며, 평론집으로 『소설과 운명의 언어』, 『문학사와 문학비평』, 『분석과 해석』 등이 있다.
한용운은 시집 『님의 침묵』 이후 십 년이 지난 뒤에 ‘심우장 尋牛莊 산시 散詩 ’라는 표제로 일련의 시편들을 발표하면서 자신의 시적 변모를 새롭게 보여주었다.
「심우장 산시」는 1936년 3월 27일부터 4월 5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작 형식으로 연재되었다. 총 6회에 걸쳐 「산거 山居 」, 「산골물」,「모순 矛盾 」, 「천일 淺日 」, 「쥐 (鼠) 」, 「일출 日出 」, 「해촌 海村 의 석양」, 「강 배」, 「낙화」, 「일경초 一莖草 」, 「파리」, 「모기」, 「반월 半月 과 소녀」 13편의 시를 수록했다. 이 작품들은 한용운이 서울 성북동 의 심우장 尋牛莊 에 기거하면서 느낀 경험적 일상의 단편들을 시적 형식으로 형상화하고 있는데, 시집 『님의 침묵』에서 볼 수 있었던 시적 주체의 자기 고백적인 진술법과 ‘님’이라는 시적 대상을 향한 간절한 원망 願望 의 어조에서 벗어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시인의 현실 인식과 그 치열한 역사의식은 여전히 그 내면 풍경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심우장 산시」는 비슷한 시기에 「심우장 尋牛莊 만필 漫筆 」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산문과 함께 1930년대 중반 만해의 문필 생활과 그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에 해당한다.
지난 호에 이어 이번 호에는 「심우장 산시 3」과 「심우장 산시 4」의 작품들을 『유심』의 독자들과 함께 다시 읽기로 한다. 작품 원문의 대조 및 주석 작업은 권영민 교수가 맡았음을 밝힌다.
「심우장 산시 3」
쥐
나는 아무리 좋은 뜻으로 너를 말하여도
너는 작고 방정맞고 얄미운 쥐라고밖에 할 수가 없다.
너는 사람의 결혼 의상과 연회복을 낱낱이 쪼아놓았다.
너는 쌀궤와 팥 멱서리를 다 쪼고 물어내었다.
그 외에 모든 기구를 다 쪼아놓았다.
나는 쥐덫을 만들고 고양이를 길러서 너를 잡겠다.
이 작고 방정맞고 얄미운 쥐야.
x x x
그렇다, 나는 작고 방정맞고 얄미운 쥐다.
나는 너희가 만든 쥐덫과 너희가 기른 고양이에게 잡힐 줄을 안다.
만일 내가 너희 의장과 창고를 통거리째 빼앗고,
또 너희 집과 너희 나라를 빼앗으면,
너희는 허리를 굽혀서 절하고 나의 공덕을 찬미할 것이다.
그리고 너희들의 역사에 나의 이 뜻을 크게 쓸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큰 죄를 지을 만한 힘이 없다.
다만 너희들이 먹고 입고 쓰고 남는 것을 조금씩 얻어먹는다.
그래서 너희는 나를 작고 방정맞고 얄미운 쥐라고 하며,
쥐덫을 만들고 고양이를 길러서 나를 잡으려 한다.
× × ×
나는 그것이 너희들의 철학이요 도덕인 줄을 안다.
그러나 쥐덫이 나의 덜미에 벼락을 치고 고양이의 발톱이 나 의 옆구리에 샘을 팔 때까지
나는 먹고 마시고 뛰고 놀겠다.
이 크고 점잖고 귀염성 있는 사람들아.
• 원문
쥐(鼠)
나는 아모리 조흔뜻으로 너를 말하야도
너는 적고 방정맛고 얄미운 쥐라고 박게 할수가업다
너는 사람의 結婚衣裳과 宴會服을 낫낫치 조서*노앗다
너는 쌀궤와 팟멱사리**를 다 좃고 무러내엇다
그외에 모든器具를 다 조서노앗다
나는 쥐돗***을 만들고 고양이를 길너서 너를 잡것다
이 적고 방정맛고 얄미운 쥐야
× × ×
그러타 나는 적고 방정맛고 얄미운쥐다
나는 너의가 만든 쥐돗과 너의가 기른 고양이에게 잡힐줄을 안다
만일 내가 너희 衣欌과 倉庫를 통거리****채 빼앗고
또 너의집과 너의나라를 빼앗으면
너의는 허리를 굽혀서 절하고 나의 功德을 讚美할것이다
그러고 너의들의 歷史에 나의이뜻을 크게 쓸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큰죄를 지을만한 힘이 업다.
다만 너의들이 먹고 입고 쓰고 남는 것을 조금씩 엇어먹는다.
그래서 너의는 나를 적고 방정맛고 얄미운 쥐라고 하며
쥐돗을 만들고 고양이를 길러서 나를 잡으랴한다.
× × ×
나는 그것이 너의들의 哲學이오 道德인줄을 안다
그러나 쥐돗이 나의 덜미에 벼락을 치고 고양이의 발톱이 나의 엽구
리에 새암을 팔때까지
나는 먹고 마시고 뛰고 놀갯다.
이 크고 점잔하고 귀염성잇는 사람들아
─ 《조선일보》 1936년 3월 31일
* 좃다. ‘조다’의 방언. 날카로운 것으로 새기거나 갉아내다.
** 팥 멱서리. ‘멱서리’는 곡식을 담아놓는 그릇으로 짚으로 엮어 만듦.
*** 쥐덫.
**** 통가리. 뜸을 엮어 마당에 둘러치고 그 안에 곡식을 채워 쌓은 더미.
「심우장 산시 4」
일출
어머니의 품과 같이
대지를 덮어서 단잠 재우든 어둠의 장막이
동으로부터 서으로
서으로부터 다시 알지 못하는 곳으로 점점 자취를 감춘다.
× × ×
하늘에 비낀 연분홍의 구름은
그를 환영하는 선녀의 치마는 아니다.
가늘게 춤추는 바다 물결은
고요한 가운데 음악을 조절하면서
붉은 구름에 반영되었다.
× × ×
물인지 하늘인지
자연의 예술인지 인생의 꿈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그 가운데로
솟아오르는 해님의 얼굴은
거룩도 하고 감사도 하다.
그는 숭엄, 신비, 자애의 화현이다.
× × ×
눈도 깜작이지 않고 바라보는 나는
어느 찰나에 해님의 품으로 들어가 버렸다.
어디서인지 우는 꾸궁이 소리가
건너산에 반향된다.
• 원문
日出
어머니의 품과 가티
大地를 덥허서 단잠 재우든 어둠의 帳幕이
東으로부터 西으로
西으로부터 다시 알지못하는곳으로 점점 자최를 감춘다
× × ×
하늘에 비낀 연분홍의 구름은
그를 歡迎하는 仙女의 치마는 아니다
가늘게 춤추는 바다물껼은
고요한 가온대 音樂을 調節하면서
붉은 구름에 返映되얏다.
× × ×
물인지 하늘인지
自然의 藝術인지 人生의 꿈인지
도모지 알수업는 그가온대로
소서오르는 해님의 얼골은
거룩도 하고 感謝도하다
그는 崇嚴 神秘 慈愛의 化現*이다
× × ×
눈도 깜작이지 안코 바라보는 나는
어느刹那에 해님의품으로 드러가 버렷다
어대서인지 우는 꾸궁이** 소리가
건넌산에 反響된다
해촌 海村 의 석양
석양은 갈대지붕을 비춰서 작은 언덕 잔디밭에 반사되었다. 산기슭 길로 물 길러 가는 처녀는
─ 《조선일보》 1936년 4월 2일
* 화현化現. 현화. 신불 등이 형체를 바꾸어 세상에 나타남.
** 뻐꾸기.
해촌 海村 의 석양
석양은 갈대지붕을 비춰서
작은 언덕 잔디밭에 반사되었다.
산기슭 길로 물 길러 가는 처녀는
한 손으로 부신 눈을 가리고 동동걸음을 친다.
반쯤 찡그린 그의 이마엔 저녁 늦은 근심이 가늘게 눈썹을 눌렀다.
× × ×
낚싯대를 메고 돌아오는 어부는
갯가에서 선 노파를 만나서
멀리 오는 돛대를 가리키면서
무슨 말인지 그칠 줄을 모른다.
× × ×
서천에 지는 해는
바다의 고별음악을 들으면서
짐짓 머뭇머뭇한다.
● 원문
海村의 夕陽
夕陽은 갈때집웅*을 비처서
적은언덕 잔듸밧에 反射되얏다.
山기슬기 길로 물길너가는 處女는
한손으로 부신눈을 가리고 동동거름**을 친다
반찜 찡그린 그의이마엔 저녁늣인*** 근심이 가늘게 눈섭을 눌넛다
× × ×
낙시대를 메고 도라오는 漁父는
개까****에서 선 老婆를 맛나서
멀리오는 돗대를 가리치면서
무슨말인지 그칠줄을 모른다
× × ×
西天에 지는해는
바다의 告別音樂을 드르면서
짐짓 머뭇머뭇 한다
─ 《조선일보》 1936년 4월 2일
* 갈대로 엮는 지붕.
** 동동걸음. 다급하거나 추워서 발을 동동거리며 걷는 걸음.
*** 저녁 준비가 늦은.
**** 갯가.
권영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미국 버클리대학교 겸임교수.
주요 저서로는 『한국현대문학사』(1, 2), 『한국계급문학운동연구』, 『이상 연구』 등이 있으며, 평론집으로 『소설과 운명의 언어』, 『문학사와 문학비평』, 『분석과 해석』 등이 있다.